코인 기초

2025.05.06 21:14

메테오라 시리즈 - Dex의 구조와 수수료 체계(2)

  • 노이반 오래 전 2025.05.06 21:14
  • 63
    0

출처 : X(probe님)



메테오라 시리즈 - Dex의 구조와 수수료 체계(2)

@meteoraAg



앞선 글에서 Dex에 LP를 공급하는 것의 의미를 정리했었지. 이번 글에서는 스왑에 대해 적어볼까 해. 


LP 공급이 호가를 대는 행위라면 반대로 스왑은 시장가 매수(매도)라고 할 수 있어. LP 공급자가 제시한 호가대로 토큰을 원하는만큼 사거나 파는거지. 즉 Dex에서 LP 공급자는 메이커, 스왑 사용자는 테이커가 되는거야.


그런데 스왑을 해보면 항상 내가 처음 화면에서 받은 견적 그대로 정확하게 받지는 안잖아? 실제로 내가 받게될 토큰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 있지.


1) price Impact

  내가 스왑하고자 하는 토큰 양에 의해 가격이 얼마나 변동되는지 나타내는 비율이야. 인풋이 클수록 가격을 움직이는 힘이 커지겠지? 예를들어 내가 한번에 10m usdc를 솔라나로 스왑하면 sol 가격이 급등할 꺼잖아. 주피터에서도 스왑을 할 때 price impact를 표시해 주니 유심히 본 사람들은 알꺼야.


 번외로 호가창이 얇으면 조금만 사도 가격변동이 크잖아, Dex에서도 약간의 매수로 가격이 뛰면 LP가 얇다고 표현을 해. 극단적으로 펌프펀의 뉴페어 풀은 조금만 사도 가격이 2배로 뛰지. 밈코인 초기 진입이 어려운 이유이기도..


2) slippage

 반대로 다른 사람들의 선행거래에 의해서 발생하는 격차야. 내 스왑 트랜잭션보다 앞에 누군가 대량으로 매수를 하면 가격이 크게 뛰면서 내가 원래 받을 수 있던 토큰의 수보다 더 적게 스왑이 되잖아. 

그래서 스왑 트랜잭션을 넣을 때 슬리피지를 몇 % 까지 허용할지 세팅을 하게 되어있어. (더 엄밀히 말하면 비율이 아니라 받게될 최소 토큰의 개수를 세팅하게 되어 있어)

가격이 급변하는 토큰들을 살 때 슬리피지를 낮게 설정해서 트랜잭션이 실패한 경험들이 다들 있을거라고 봐. 


그래서 오늘 글을 요약하면,

스왑은 LP 제공자에 의해 배치된 호가를 시장가로 긁는 행위이며, 스왑의 결과는 내 인풋의 양과 타인들의 거래에 의해 트랜잭션 실행 시점에 결정된다.

  • 공유링크 복사